AWS는 전 세계에 있는 수많은 데이터 센터를 논리적으로 구조화해서 제공
1) Region (리전)
- AWS 서비스를 실제로 배포하는 지역 단위
- 예시: us-east-1, eu-west-3, ap-northeast-2(서울)
- 전 세계 곳곳에 분산돼 있어서, 우리가 서비스를 어디에 배포할지를 직접 선택할 수 있음
2) Availability Zone (AZ, 가용 영역)
- 하나의 Region 안에는 보통 3개의 AZ가 존재, AZ마다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 센터가 있음
- 장애나 자연재해가 났을 때도 시스템 전체가 멈추지 않게 하기 위한 구조
- 예: 서울 리전 ap-northeast-2 → AZ: ap-northeast-2a, 2b, 2c
3) Edge Location / Point of Presence (PoP)
- 전 세계 90개 도시, 40개 국가 이상에 400개 이상의 콘텐츠 전송 거점이 있음
- CloudFront 같은 서비스에서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해줘서 딜레이가 줄어듦
앱을 어느 리전에서 배포할지는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함
- 규제 및 데이터 주권 (Compliance)
- 어떤 나라에선 “우리나라 국민의 데이터는 우리나라 안에서만 처리해라” 이런 법이 있음
- 이런 경우, 해당 국가 내 Region을 사용해야 함
- 지연 시간 (Latency)
- 사용자가 미국에 많은데 오스트레일리아 Region에 앱을 배포하면 속도가 느려짐
- 사용자와 가까운 Region을 선택하는 게 핵심
- 서비스 가용성 (Service Availability)
- 모든 Region이 모든 AWS 서비스를 지원하진 않음
- 예를 들어, AWS SageMaker 같은 서비스는 특정 Region에만 있을 수도 있음
- 가격 (Cost)
- Region마다 서비스 가격이 다름
- 비용에 민감한 프로젝트라면 가격 비교도 꼭 해봐야 함
aws는 글로벌하게 확장 가능
- 데이터 센터가 전 세계에 퍼져 있음
- 초고속 네트워크로 연결돼 있
- 탄탄한 보안/복구 구조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loudshell / IAM Role (1) | 2025.06.15 |
---|---|
[aws] IAM (0) | 2025.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