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물류
- ICT, IoT, 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물류 전 과정을 디지털화하고 자동화하는 지능형 시스템
핵심 목표
- 물류 효율성 향상(비용/시간 절감)
- 실시간 모니터링 및 예측 대응
- 유연한 공급망 운영
-스마트 물류 적용 범위
- 창고관리(WMS), 운송관리(TMS), 주문처리(OMS), 수요예측 시스템
- 센서 기반 실시간 추적, 자동분류/피킹, 배송 경로 최적화 등
전통 물류와의 차별점
- 자동화 및 정보 기반 의사결정
- 통합된 플랫폼 기반 서비스
- 예측 기반 선제 대응
디지털 전환의 개념
-기존 산업 구조를 데이터와 기술로 재구성하는 변화
- 수동->자동
-반응 -> 예측 기반 운영
물류 자동화의 DX요소
-IoT:실시간 위치,온도,재고 정보 수집
-AI/ML : 수요 예측, 경로 최적화, 재고 계획
-로봇/AGV/AMR : 자동 분류, 피킹, 운반
-클라우드 : 주문,재고,배송 시스템 통합 관리
-빅데이터 : KPI분석, 운영 최적화
DX 적용의 효과
-리드타임 단축, 오류율 감소, 처리량 증가
-유연한 운영 -> 수요 변화 대응력 향상
스마트 물류 기대효과
-운영 효율성 향상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가능
-고객 서비스 품질 개선
-공급망 리스크 대응력 향상
-기업 경쟁력 강화
최근 물류 트렌드 키워드
-라스트마일 혁신
-초단납기 배송 경쟁
-풀필먼트 서비스 확장
-무인화/자동화 물류센터
-스마트 물류 플랫폼 등장
-옴니채널/크로스보더 물류
라스트마일 배송 혁신 사례
-무인 배송 로봇
-드론 배송
-전기차 기반 친환경 배송
풀필먼트 개념
-주문 접수부터 피킹,포장,배송,반품까지 전 과정 통합 수행
-창고+택배+고객 서비스 기능 결합
기존 물류센터와의 차이
- 주문 단위 단건 처리 중심
- 소비자 B2C 중심 확대
스마트 풀필먼트 특징
-자동 피킹, 자동 포장 시스템 적용
-실시간 재고 연동 및 다채널 주문 처리
-고객 맞춤형 포장 / 배송 옵션 지원
- 단순한 창고에서 고객 경험 중심의 유통 인프라로 변화
물류 프로세스 흐름
- 입고(inbound) : 공급자로부터 상품 수령, 검수, 시스템 등록
- 보관(storage) : 상품 위치 지정, 적치 및 재고 관리
- 피킹(picking) : 주문 기반으로 상품 선택
- 패킹(packing) : 포장 및 송장 부착, 분류
- 출고(outbound) : 출하 확인, 택배사 인계
- 배송(delivery) : 고객에게 도달, 배송 완료 처리
프로세스 특징
-순차적이지만, 병렬 처리도 가능
-각 단계에 따라 작업자/장비/시스템의 역할이 명확히 구분됨
고객 서비스와의 연결
-주문 접수부터 배송 완료까지 물류 흐름 전체가 고객 경험에 직결
-물류의 속도와 정확성이 CX의 핵심 요소가 됨
DC(Distribution Center, 배송센터)
-대량 재고를 저장하고 지역 거점으로 분배하는 기능
FC(Fullfillment Center,풀필먼트 센터)
-주문 단위로 소량 피킹,포장,배송까지 수행
-온라인 쇼핑 주문 처리에 최적화
Hub(물류허브)
-다수의 지역 또는 택배 분류 거점
-지역 간 이동 물류의 환승,분류,통합 기능
거점 간 관계 예시
제조사 - DC(보관) - Hub(분류) - FC(개별 처리) - 고객
스마트 물류 도입 시 고려사항
-초기 투자 비용 부담
-기존 시스템과의 연동 문제
-데이터 품질과 정확도 확보
-인력 저항 및 교육 문제
-보안 및 프라이버시 문제
-기술 의존성 증가
<주요 물류 시스템>
창고관리 시스템 -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창고 내부의 입고, 보관, 출고 작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재고 수량, 위치, 흐름을 실시간으로 통제
도입 목적
-재고 오류 및 오배송 방지
-창고 공간 효율화
-작업 속도 향상 및 인력 최소화
적용 대상
-물류센터, 유통업체, 제조업체, 온라인 쇼핑몰 등
-중대형 창고를 운영하는 모든 조직
핵심 원리
-바코드.QR 스캐너 기반 실시간 위치 추적
-작업 지시 -> 작업 완료 -> 시스템 상태 갱신
-패킹/피킹/출고까지 연결된 흐름 설계
스마트 물류에서의 역할
-자동화 설비와 연동
-OMS,TMS와 연결되어 End-to-End 처리가능
WM의 주요 기능
-입고 관리
-보관 및 적치
-피킹
-패킹 및 출고 지시
-재고 관리
-연계 시스템
운송관리 시스템 - TMS(Transportation Managemnet System)
-물류 출고 이후의 운송,배차,배송 전체를 관리
-출하부터 도착까지의 흐름을 디지털로 통제
도입 목적
-배송 지연, 오배송 방지
-운송 비용 절감 및 경로 최적화
-실시간 배송 상태 추적
적용 대상
-택배사, 3PL물류사, 제조/유통기업의 자체 배송망
-차량 운영 또는 배차 계획이 필요한 모든 조직
스마트 물류에서의 역할
-실시간 교통 데이터 연동 -> 경로 재설정
-배송 KPI분석
-ESG대응을 위한 탄소배출 모니터링도 가능
TMS핵심 기능
-배송 요청 수신 및 운송 계획 수립
-배차 자동화
-배송 경로 최적화
-실시간 운송 추적 및 알림
-운임 정산 및 비용 분석
-성과지표(KPI) 관리
주문관리 시스템 - OMS(Order Management System)
-고객 주문 발생부터 처리, 출고, 반품까지 전체 흐름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다양한 판매 채널의 주문을 중앙에서 통제
도입 목적
-주문 실수, 중복 출고 방지
-재고 불일치 해소
-고객 응대 품질 향상
스마트물류에서의 위치
-전체 물류 흐름의 출발점
-WMS/TMS의 상위 시스템으로 연결
-주문 데이터 기반 자동 운영 가능
적용 대상
-쇼핑몰,커머스플랫폼, B2B 주문 관리 기업
-풀필먼트 서비스 운영자
OMS는 고객과 내부 물류 시스템을 연결하는 정보 허브
통합 연동이 되어야 진정한 스마트 풀필먼트 가능
WMS-TMS-OMS 통합 흐름 예시
- 주문 접수(OMS)
- 창고 처리(WMS)
- 운송 배차 및 추적(TMS)
- 고객 커뮤니케이션(OMS)
실무 설계 시 고려 사항
-각 시스템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되 중복 피하기
-클라우드 기반 API연동 고려
-시스템 도입보다 업무 프로세스 설계가 먼저
'[KT AIBLE SCHOOL]에이블스쿨'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 에이블스쿨] 06.24 B2B AX 사업 기획 및 컨설팅 이해 (1) | 2025.06.24 |
---|---|
[KT 에이블스쿨] 06.23 IT 비즈니스 컨설팅 (2) | 2025.06.24 |
[KT 에이블스쿨] 06.13 헬스케어 도메인 기술 분석 (4) | 2025.06.13 |
[KT 에이블스쿨] 06.12 산업별 도메인 기술 분석 - 스마트팩토리 (0) | 2025.06.12 |
[KT 에이블스쿨] 06.11 클라우드 아키텍처 - 프로토타입 (0) | 202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