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 AIBLE SCHOOL]에이블스쿨

[KT 에이블스쿨] 06.24 B2B AX 사업 기획 및 컨설팅 이해

by 오동일지 2025. 6. 24.

DX 기본 개념

-기업에서 IT기술을 이용해서 더 편리,효율적으로 만들어내는 것

 

DX 목적

-비용 절감

-기회 증가

-새로운 컨셉

-업무 개선

 

AX

-DX의 개념에 AI가 더해진 것

-기업의 디지털 전환 과정에 AI의 기술을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전환을 이루는 것

<목표>

-효율성 향상

-새로운 가치 창출

-경쟁력 강화

 

발주 입장의 DX/AX 프로세스

  1. 내 비즈니스 이해
  2. 래퍼런스 검색 및 IDEA 컨셉
  3. IDEA 분석
  4. 상상력 스케치
  5. IT전문가 검토요청
  6. 수익성 분석
  7. 의사결정 및 발주 진행

DX/AX 컨설팅 주요 작업

-서비스 기획

개발 검토

개발 비용 분석


< 비즈니스 관점의 AI 차이_분석형 AI>

b2b 프로젝트 시장에서 분석형 ai는 기업에서 직접 개발하는 경우가 많음

-기업이 제공하는 ai의 기술 범주 안에서 서비스 제공 가능

-자사의 분석형 ai 기술의 범위와 차별화된 성능을 이해하는게 중요

-실제 b2b 기반 프로젝트는 많은 경우 분석형 ai 중심

-분석형 ai도 클라우드 기반 api형태로 제공하기도 함

 

< 비즈니스 관점의 AI 차이_생성형 AI>

생성형 ai의 경우 오픈 ai와 같은 전문 업체가 개발한 ai를 다양한 서비스 모델에 적용하는 형태의 ai 적용이 많음

-생성형 ai 전문 업체가 제공하는 api 기반 기능 중심 서비스

-특정 서비스 범주에 묶이지 않은 자유로운 서비스 기획 필요

-생성형 ai전문업체가 제공하는 다양한 api 서비스 종류와 범위를 많이 아는게 중요

-기획에 적극 적용 가능하는 것이 중요

 

< AI 기반 서비스 기획 히스토리>

-기존에는 분석형 ai 직접 개발하는 회사의 b2b 서비스 중심 -> 그래서 ai회사라는 개념이 강했음

-자동화, 효율성, 기능성 중심의 ai 서비스 기획 -> 자사의 기술이 핵심

-ai기술 & 생성형 ai & 클라우드 발달 api 기반 ai 개발 -> 그래서 어떤 회사든 ai를 적용 가능한 형태로 변화

-api 사용료 < 서비스 통한 수익이 나오는 모든 분야에 기획 제공 가능한 형태로 발전

 

<AX 컨설팅 방법>

-고객을 만나서 요구사항 분석

-준비단계의 ai기능을 적용 기초로 하는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에 대한 개발팀 검증

-해당 서비스에 반드시 자사의 ai가 들어가야 하는 당위성 설계


 

AX 관점 AI 기획 큰 그림

 

IT 서비스 기획 업무 프로세스

  1. 고객 미팅 or 고객 분석
  2. 서비스 기획
  3. 고객 설명 및 설득
  4. 사업 분석(비용, 진행)
  5. RFI 제공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1. 요구사항 정리
  2. 전체 서비스 기획 기술 정리
  3. 서비스 기획 초안 자료 작성
  4. 개발 검토
  5. 원가 분석

전체 서비스 기획 기술 정리

  1. 내부 역량
  2. 협력사 역량
  3. 전체 기술 검토

서비스 기획 초안 자료 작성

  1. 요구사항 구분
  2. 전체 구성도 작성
  3. 핵심 요구사항 기획 자료 작성
  4. 일반 요구사항 정리 자료 작성
  5. 외부 기술 분석

서비스 기획[외부 기술 분석]

  1. 업체 정보
  2. 기술 정보
  3. 비용 정보

서비스 기획[목차]

  1. 회사 소개- 우리 회사가 어떤 경쟁력이 있는지
  2. 목표 서비스 - 고객의 요구사항을 정리한 서비스 구성도
  3. 구축 시스템 - 서비스 구성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도
  4. 상세 제안 내용 - 핵심 요구 사항에 대한 차별화 기반 상세한 서비스 기획 자료
  5. 예상 비용 - 전체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예상되는 비용

고객 설명 및 설득 프로세스

  1. 자료 전달
  2. 고객 미팅
  3. 서비스 기획 보완

사업분석 프로세스

  1. 사업 발주 전략
  2. 비용 전략
  3. 기타 영업 전략

IT 서비스 제안

  1. 고객이 개발하고자 하는 요구사항을 분석 - RFP 분석
  2. 이 사업에 참여하는 것이 회사에 이득이 될지 판단 - 사업성 검토
  3. 우리가 서비스를 잘 할 수 있음을 문서로 정리 - 제안서, 제안 발표 자료 작성
  4. 제안 발표&질의 응답 - 실제 평가자에게 제안발표자료로 발표

전제 프로세스

  1. RFP 분석
  2. 사업성 검토
  3. 제안 전략 수립
  4. 제안서 작성
  5. 제안 발표자료 작성
  6. 제안발표 & 질의 응답

제안 전략 수립

  • 기술 전략
  • 비용 전략
  • 기타 영업 전략

제안서 작성

  1. 회사 소개
  2. 제안 개요
  3. 기술 부분
  4. 사업관리 방안
  5. 지원 부문

제안 발표 자료 작성

  • 제안 개요
  • 구축 전략
  • 사업관리 방안

RFP 분석 방법

  • RFP 상세 확인 및 정리
  • RFP 외적 요소 분석
  • 분석 내용 사전 공유